─
차인재(차우르다, 임인재) 선생님은 1895년 4월 26일 경기도 수원군 북부면 북수동(현 수원시 팔달구 북수동)에서 태어났다. 수원지역 대표적인 여성교육기관인 우리학교(삼일여학교)를 1910년 3월 2일 제1회로 졸업하였다. 최초의 여류 화가 나혜석과 동생 나지석, 박충애와 홍보배 등이 동기동창생이다. 학교는 북감리교 여선교회 스크랜튼(M.F Scranton) 선교사에 의해 보시동 수원읍 교회(현 종로감리교회)의 초가집에서 3명의 ‘삼일소학당’으로 개교하였다. 전도부인 이경숙과 유지들의 활약으로 1년 만에 재학생이 20여 명으로 늘어났다. 교장으로 부임한 밀러는 스크랜튼 대부인의 적극적인 후원과 미국 여선교부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현재 학교 부지인 수원천로 350(매향동)에 이전하였다. 교장은 낙후된 학교 시설을 개선하고 4년제 삼일여학교로 정식 설립 인가를 받았다. 박충애의 어머니이자 교사인 김몌례는 민족의식 함양과 사회 구성원으로서 책무를 일깨웠다. 차인재는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하여 졸업한 뒤 모교(삼일여학교) 교사로 근무하면서 여성교육 보급에 열성적이었다. 3·1운동 이후 수원지역 민족운동은 새로운 방향으로 전개되기에 이르렀다. 1920년 6월에는 휘문고등보통학교 학생 박선태, 이종상(일명 이득수)을 중심으로 비밀결사체인 구국민단이 조직되었다. 목적은 크게 2대 목표로 삼았다. 첫째, 한일강제병탄에 반대하여 조선을 일본 제국 통치하에서 이탈시켜 독립국가를 조직한다. 둘째, 독립운동을 하다가 수감되어 있는 사람의 가족을 구조한다는 내용이었다. 임원진은 단장 박선태, 부단장 이종상, 구제부장 이선경(경기고녀), 서무부장 임효정(일명 임순남, 이화여고보), 재무부장 최문순(이화여교보), 교제부장 차인재 등이 맡았다. 특히 이 단체를 조직할 때 이선경·임효정·최문순을 소개한 사람이 바로 차인재였다. 이들은 상하이 임시정부에서 보내온 『독립신문』, 『대한민보』, 『창가집』, 「경고문」 등을 수원지역에 배포하면서 동지 규합에 나섰다. 이들 대부분은 학교 기숙사나 하숙을 하는 서울 유학생이었다. 주말마다 서울에서 고향 수원으로 돌아와 금요일 밤마다 삼일학교에서 모여 장래에 대한 운동 방침을 의논하였다.(출처 : 월간 독립기념관)
교사 생활을 하다가 이른바 사진 신부로 미국으로 건너가 임치호(1879-1951) 지사와 함께 독립운동을 한 부부독립운동가이다.1920년 6월 수원에서 삼일학교 교사로 근무 중 비밀결사조직 구국민단의 교제부장을 맡아 임시정부에서 국내로 보낸 독립신문, 대한민보 등을 배포했다. 그해 8월 미국으로 건너가 로스앤젤레스 지역에서 대한인국민회, 대한여자애국단 등의 중견 간부로 활동하면서 1922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다. 그의 남편인 임치호 선생도 대한인국민회 로스앤젤레스지방회 회장 등으로 활동하면서 임시정부 등에 지속적으로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한 공로로 2017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김메례 선생님 송별 사진(독립기념관)
가운데 꽃목걸이를 들고 있는 사람이 김몌례 선생, 뒷줄 왼쪽에서 4번째부터 차인재, 박충애,나혜석이며
맨 앞의 남성은 민족대표 48인 가운데 한분인 김세환 지사(1916년 8월 24일)
북미대한부인회애국단
차인재 지사는 북미대한부인회애국단 소속으로 이 단체가 한국에 세운 기념도서관 정초식에 참석하여 창덕궁 후원에서 찍은 사진.(1966)
앞줄 왼쪽에서 6번째가 차인재 지사 (출처 : 오마이뉴스)